개나리 iT 블로그

 
영상편집 과정 교육  - 프레임과 해상도에 대해서 알아보기

프레임(Frame) 의 개념과 이해 - 24프레임, 25프레임 30프레임

프레임이란? 동영상을 구성하는 작은 단위로 각 프레임은 하나의 정지된 이미지를 뜻합니다. 이런 정지된 이미지가 연속적으로 보여주면 움직이는 영상이 됩니다. 

 

가장 대표적인 것이 플립 북 (Flip book)입니다.

플립북 : 책장에 연속적인 그림을 그려서 빠르게 넘기면 마치 움직이는 애니메이션처럼 보입니다.  영화가 초기에 활동 사진(motion picture)이라고 불리운 이유가 있겠죠. ^^ 이처럼 한 페이지 한페이지를 영상에서는 프레임이라고 합니다.

플립 북 - 각 페이지에 연속적인 동작을 그리고 책장을 넘기면 움직이는 영상처럼 보인다.

 

위와 같은 원리로 필름속의 연속적인 사진을 빠르게 돌리면 활동사진(motion picture)가 되고 이것이 영화의 시초가 됩니다.  이 필름을 초당 24장을 볼 수 있게 돌리면 24fps (Frame Per Second)가 됩니다.

필름 프레임 속의 연속된 동작

영상 프레임 종류
24 fps (23.976) 영화, 광고 - 영화나 광고에 많이 사용
25 fps 유럽 방송 규격 
30 fps (29.97) 미국 방송 규격
60, 120, 240 fps 고속 촬영 - 슬로우 모션에 유리

 

위 표는 각 매체별 사용하는 프레임 수 입니다. 24, 30프레임이 정확하지 않다는 것이 이상할 것입니다. 내용이 상당히 복잡한데 간단히 이야기하면 흑백 텔레비젼이서 컬러 텔레비젼으로 바뀌는 시점에서 흑백TV와의 호환성 문제 때문에 일부 프레임에 컬로신호를 집어넣어 기존 30프레임을 유지하였습니다. 이 방송 규격이 틀어지니 영화의 규격에도 영향을 받아 원래 24fps 였던 영화 프레임이 23.976이 된 것입니다. 

그래서 30프레임(29.97)촬영 시 1분마다 2프레임의 오차가 생기는 데 이걸 보정해서 건너뛰는 것이 drop 방식입니다. 이 방식으로 편집하면 1분 시간 위치가 1분 2프레임으로 건너뜁니다. none drop 방식은 시간의 오차를 감안하고 그냥 프레임 단위로 촬영합니다. 문제는 이렇게 none drop 방식으로 촬영하면 1시간 짜리 영상에 3.6초의 오차가 생깁니다. 그래서 짧은 영상에서는 사용 가능하나 한국 방송환경이 drop 방식이므로 drop 방식을 추천합니다.

드롭 프레임 시간 코드 ( drop 방식 )

 

비드롭 프레임 시간 코드( none drop 방식 )

 

영상 해상도 FHD와 UHD 비교

해상도는 가로 세로 픽셀수를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가장 대중적으로 사용하는 모니터는 FHD 1920X1080 픽셀이고 이 보다 면적대비 4배의 픽셀이 있는 디스플레이가 UHD 3840X2160이 있습니다. 가격은 보통 현재 시점으로 두 배 이상 비쌉니다.

FHD, UHD 픽셀 수 비교

위 사진을 보면 32인치 모니터라 가정하면 FHD 픽셀이 UHD 모니터 크기로 늘리면 픽셀이 커지면서 해상도가 떨어집니다. 이것이 FHD와 UHD 모니터의 해상도 차이를 나타냅니다. 픽셀에 대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클릭하면 확인할 수 있습니다.

 

[디자인 LESSONS] - 포토샵 기초 - CMYK와 RGB, Pixel과 PPI, 모니터 해상도

 

포토샵 기초 - CMYK와 RGB, Pixel과 PPI, 모니터 해상도

포토샵을 시작하기전의  기초 cmyk, rgb, pixel, ppi, 모니터 해상도 알아보기 RGB와 CMYK RGB는 모니터에서 표현되는 컬러입니다. Red, Green, Blue를 기본 컬러로 합니다. 반면에 CMYK (Cyan, Magenta, Yellow, Key)

narie.tistory.com

 
 

관련 글